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160x600
세상 모든 잡동사니 집합소 스레TV
[국내 주식] 국내 주식 시간 별 거래 정리 본문
728x90
반응형
🕰 국내 주식 거래 시간대별 특징 완전 정복
주식을 사고팔기만 하면 되는 줄 알았다면 오산! 시간대마다 시장의 흐름과 심리는 달라집니다.
오늘은 초보 투자자도 꼭 알아야 할 시간대별 국내 주식 거래의 구조와 특징을 정리해 드릴게요.
🧭 국내 주식의 거래 시간표 한눈에 보기
구분시간방식특징 요약
장전 동시호가 | 08:30 ~ 09:00 | 단일가 | 전일 이슈 반영, 개장 가격 결정 |
정규장 | 09:00 ~ 15:20 | 연속매매 | 거래량 대부분 발생, 실전 매매 중심 |
장마감 동시호가 | 15:20 ~ 15:30 | 단일가 | 종가 결정, 기관/ETF 매매 집중 |
시간외 종가매매 | 15:40 ~ 16:00 | 단일가 | 당일 종가로 거래, 청산 목적 |
시간외 단일가매매 | 16:00 ~ 18:00 | 10분 단위 단일가 (12회) | 장 종료 후 이슈 반영 |
야간거래 (ATS) | 16:00 ~ 20:00 | 연속매매 (일부 종목만) | 2025년 시작, 연장장 개념 |
⏰ 시간대별 거래 특성과 투자자 행동 분석
🔹 1. 장전 동시호가 (08:30 ~ 09:00)
“하루의 시작을 좌우하는 30분, 뉴스 반영은 여기서 끝난다!”
- 거래 방식: 단일가 매매 (09:00에 한 번 체결)
- 주요 특징:
- 전일 밤 뉴스/해외 증시/ADR 등 반영
- 거래량은 낮지만, 시가 결정에 핵심 역할
- 예상 체결가는 08:50부터 HTS에서 확인 가능
- 주체:
- 외국인·기관 중심의 자동매매·전략주문
- 전략 팁:
- 뉴스 선반영 확인 → 시초가 괴리 종목 매매 전략
🔹 2. 정규장 (09:00 ~ 15:20)
“하루 거래의 90% 이상이 몰리는 메인 타임”
- 거래 방식: 연속매매 (호가 기준 체결 우선)
- 3개 주요 구간:
- 가장 높은 변동성·거래량 집중 구간
- 전일 이슈·갭상승 종목 폭등락 자주 발생
- 거래량 급감 (점심 시간 겹침)
- 작은 호가에도 주가 변동 커짐 → VI 발생 빈도 ↑
- 기관·ETF·파생 연계 주문 몰림
- 프로그램 매매 비중 급증, 체결량 폭발
- ① 09:00 ~ 10:00 개장 랠리
- 전략 팁:
- 오전: 뉴스/재료 매매
- 오후: 종가 기반 리밸런싱 추세 매매
🔹 3. 장마감 동시호가 (15:20 ~ 15:30)
“하루의 최종 가격은 여기서 결정된다”
- 거래 방식: 단일가 매매 (15:30에 한 번 체결)
- 주요 특징:
- 종가 기준 펀드 리밸런싱, ETF 매매 집중
- 예상 종가는 동시호가창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 전략 팁:
- 종가 기준 수익률 조정에 민감한 종목에 주의
🔹 4. 시간외 종가 매매 (15:40 ~ 16:00)
“오늘 종가로 주식 사고팔고 싶다면 이때!”
- 거래 방식: 종가 고정, 단일가
- 주요 특징:
- 15:30 종가로 거래
- 청산, 미체결 주문 마감용으로 사용
- 거래량 많지는 않지만 안정성↑
🔹 5. 시간외 단일가 매매 (16:00 ~ 18:00)
“장 마감 후 실적 발표? 시간외에서 반응한다!”
- 거래 방식: 10분 단위 단일가 매매 (12회)
- 주요 특징:
- 종가 기준 ±10% 가격대에서만 거래 가능
- 실적 발표, 공시, 속보 반응 실시간 반영
- 거래량은 낮지만 종종 대형 호재/악재 반영됨
- 전략 팁:
- 장 마감 후 공시/뉴스 → 시간외에서 반응 탐색
- 내일 갭 상승/하락 예측 지표로 활용 가능
🔹 6. 야간 거래 (ATS) – 2025년 도입
“이제 국내 주식도 밤 8시까지 거래 가능!”
- 운영시간: 16:00 ~ 20:00 (한국 넥스트레이드 기준)
- 거래 방식: 연속매매 (일부 유동성 높은 종목 한정)
- 특징:
- KRX가 아닌 제2거래소(ATS)에서 운영
- 미국장 오픈과 겹치는 시간대
- 아직 거래량은 적지만 점차 확대 중
📝 마무리 정리
시간대주의점유리한 전략
장전 동시호가 | 변동성 큼, 시초가 형성 주의 | 뉴스 기반 단타 전략 |
정규장 오전 | 갭 상승·급등락 주의 | 단타·뉴스 매매 |
점심 시간대 | 유동성 부족 | 관망 또는 이벤트 매매 |
종가 구간 | 리밸런싱 매매 급증 | 대형주 수급 동행 |
시간외 | 거래량 낮음, 가격제한 있음 | 공시 선반영 대응 |
✅ 초보자를 위한 TIP
- 하루종일 붙잡고 매매하는 것보다 특정 시간대만 집중하는 전략이 더 효율적입니다.
- 정규장 오전과 마감 직전 구간은 변동성·수익률 모두 크지만 리스크도 크니 주의하세요.
- 장 마감 후 뉴스·공시 체크 루틴을 만드는 것만으로도 수익률이 달라집니다.
300x250
반응형
'시사.경제 > 국내 주식 특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주식] 비상장 주식 종류와 특징 (0) | 2025.06.25 |
---|---|
[국내 주식] 국내 주요 인덱스(지수) 정리 (0) | 2025.06.22 |
[국내 주식] 단기과열 제도란? (0) | 2025.06.2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