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세상 모든 잡동사니 집합소 스레TV

세계 최초의 비행기는 한국에서 만들어졌다?! - 비거 본문

읽을거리 - 유머,공포,미스터리/신기한 이야기, 상식 모음

세계 최초의 비행기는 한국에서 만들어졌다?! - 비거

스레TV 2018. 1. 15. 19:42
728x90
반응형

비거[ 飛車 ] 



[공군사관학교 박물관 고증에따라 제작한  비차 입니다]


 

임진왜란 때 전북 김제(金堤)의 정평구(鄭平九)가 만든 비행기와 같이 나는 기계.

                            

영남의 진주성(晉州城)이 왜군에 포위되었을 때 성주와 평소부터 친하던 정평구가 이를 만들어 타고 성으로 들어가 성주를 태우고 약 10m 높이로 날아가 30리 밖에 이르러 내렸다는 설도 있고, 포위된 진주성을 구원하기 위해 이것을 타고 가서 구원병을 요청했다는 설도 있다. 형태와 구조는 전하지 않고 있다.

  

[현황]

 

2000년 12월에 공군사관학교의 비거복원팀이 비거를 복원, 실험을 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기인 비거가 2000년 12월 8일에 항공박물관의 본산인 공군사관학교 박물관에서 일반에 공개됐다. 공군사관학교는 우리 조상들의 위대한 항공사상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우리의 항공역사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건국대학교와 공동으로 제작작업을 통해 1/2 크기의 실물을 복원하는 데 성공하였다.


비거제작팀들은 대략 6개월간에 걸쳐 임진왜란 당시 사용 가능했던 대나무와 무명천, 마끈 및 화선지 등만을 이용해 비차를 복원, 조선시대 우리의 조상들도 하늘을 날았다'는 고서(古書)의 문헌내용을 실제로 입증하였다. 그러나 현재 비거가 실제 존재했는가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추가 정보


1. 비차를 만든 사람

비차를 만든 사람은 진주성 전투에서 활약했던 정평구란 인물과 윤달구란 인물이었다. 그러나 비차 발명이라는 엄청난 사건을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가문 족보에 조차 남지 않았다. 하늘을 나는 기구를 상상할 수 없었기 때문에, 헛소문으로 취급한 것이다. 하지만 비차는 막연한 상상이 아닌 구체적인 사실이었다.


2. 비차의 형태

조선의 비행기, 비차는 어떤 형태였을까. 이제껏 한번도 시도되지 않았던 비차 복원을 위해 건국대 기계항공학부 교수들로 복원팀이 구성되었다. 설계와 기술적인 자문은 우리나라 항공 역사를 정리하고 있는 전 초경량 항공기 협회장 이원복 교수가 맡았다. 복원팀을 이끌고 실질적인 제작에 참여할 팀장은 윤광준 교수. 그리고 설계부문에 박훈철 교수가 합류했다. 비차 복원팀은 이규경의 기록을 토대로 기본설계 작업에 착수했다.


3. 비차의 원리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원리는 의외로 간단하다. 하늘을 나는 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지구 중심에서 잡아당기는 중력이다. 이 중력을 누르고 하늘로 올라가려는 힘을 보통 양력이라고 하는데, 양력이 중력보다 세면 인간은 하늘을 날 수 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 비차를 만들었던 사람들도 이 원리를 알고 있었을까. 비차는 어떤 원리로 하늘을 날았을까.


4. 비차의 추진장치

기록을 보면, 비차에 풀무 같은 장치가 있는데, 이것이 공기를 일으켜 날게 했다고 한다. 이 풀무가 곧 비행기를 날게 하는 추진장치 역할을 했다는 뜻이다. 비차 복원팀은 이 대목에서 난관에 부딪혔다. 풀무의 원리를 이용해 비차를 날게 할 수 있을 정도의 추진력을 내는 추진장치는 어떤 형태였으며, 어떤 원리로 비차에 장착되었던 것일까. 더욱이 이규경이 종합한 기록 속에는 비차는 풀무장치뿐만 아니라 양 날개를 움직여 얻어지는 풍력에다, 자연 바람을 이용하는 방법까지 모두 동원했다고 적혀있다. 복원팀은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이 과제를 풀어보기로 했다.


5. 비차의 비행

비차 복원팀은 3개월 간에 걸쳐 비차 복원 작업을 완성했다. 이 비차는 과연 하늘을 날 수 있을까. 비행실험에 마땅한 장소를 물색하던 중 복원팀은 정평구가 진주성에서 비차를 날려 30리나 날았다는 대목에 주목했다. 그리고 비차 복원팀은 서울시내에서 진수성과 가장 비슷한 조건을 가진 몽촌토성을 비행실험 장소로 선택했다. 비행기의 실험비행에는 늘상 위험이 뒤따른다. 이에 대비해 이번 비행은 20년의 전문 스턴트맨이 맡았다. 드디어 모든 비행준비가 끝났다. 조선시대 비차, 과연 비행에 성공할 수 있을까.

6. 비차가 사라진 이유

비차는 존재했으며, 하늘을 날았다. 그런데 그런 사실들을 왜 많은 사람들은 기록으로 남겨두지 않은 것일까. 또한 비차를 계속 발전시키지 못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하지만 18세기 조선은 이전과 분명 다른 새로운 기운이 감돌고 있었다. 그리고 비차가 영원히 전설 속에 묻히지 않고, 기록으로 되살아 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 18세기 조선의 사회 흐름 때문이었다.





반응형
Comments